크리에이티브한 업무가 일상인 엔터테인먼트의 오피스.
층별로 용도를 달리 사용할 땐 각기 다른 인테리어 콘셉트를 적용하는 것 또한 방법이 된다.
엔터테인먼트와 게임사업을 하는 클라이언트가 사무공간 이외에 카페와 연습실, 게임 공간에 맞는 새로운 공간을 의뢰했다. 지하는 2개의 층, 지상 4층의 건물에는 각 층별 사용자와 용도가 달랐기에 인테리어 콘셉트를 달리하고 층별로 새롭게 설계를 적용했다. 건물 구조적 특성 상, 실내 층고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좁아 보이는 공간을 각층마다 용도에 맞도록 다양한 마감재를 사용하고, 특징적인 패턴을 적용했다. 좁은 시야각의 한계를 시선 분산으로 확장감을 더하고, 새로운 스타일로 감각을 살리는데 집중했다.
전체 공간은 선과 면을 정리하는 것에서 출발했다. 부드러운 곡면을 적용해 편안함을, 선과 선을 정리하고 곧게 뻗도록 연출해 개방감을 주었다. 특히 방문객들이 먼저 만나는 1층 카페에는 메가 샹들리에로 화려함을, 게스트용 화장실은 수입 패턴 벽지와 라스빗 조명을 설치해 좁은 평면과 높은 천장고의 한계를 감각적으로 탈바꿈시켰다.
또 블랙서스는 일반적으로 도어와 프레임 제작에 주로 사용하지만, 이 공간에서는 천연대리석과 도장, 타일과의 어우러짐에 집중해 공간에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모던클래식 스타일을 풀어내는데 블랙서스를 사용해 인상적인 포인트를 준 것. 타일은 디자이너가 인테리어 설계 과정 중에 여러 개의 타일을 조합해 창의적인 패턴을 만들었다. 타일 패턴 시공이 공간의 감도에 맞게 조화를 이룬다.
지하 2층에는 연습생을 위한 연습실과 녹음실을 배치하고, 지하와 1층은 카페공간으로 완성했다. 지하 카페공간 입구는 엘레베이터 홀과 마주하고 있는 구조. 때문에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거울을 벽면에 계획했다. 글라스 이탈리아 거울의 클래시컬한 화려함이 분위기를 사로잡는다.
2, 3층에 위치한 사무실은 파티션을 최소화해 개방감을 중점에 두었다. 4층 펜트하우스는 높은 천장고를 활용해 복층으로 만들고, 직원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게임 공간과 회의실로 연출해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했다.
루덴스 크리에이티브의 사옥은 마감재 코디네이션이 가능한 디자이너의 능력을 십분 반영해 완성한 공간이다. 기존 공간이 가진 한계를 디자인 콘셉트 별로 섹션을 나누어 풍부한 공간감을 주는데 주목했다. 한 가지 컬러로 전체를 관통하지 않고, 각 층별 용도에 맞는 공간의 매력을 이끌어내는 힘. 디자이너의 독창적인 감각과 노하우가 집약된 결과물이다.